EXCELSIOR

[코딩더매트릭스]Chap07 - 차원 Dimension 본문

Linear Algebra/Coding the Matrix

[코딩더매트릭스]Chap07 - 차원 Dimension

Excelsior-JH 2018. 5. 2. 08:41

Chap 07

차원 - Dimension


7.1 기저의 크기

7.1.1 Morphing 보조 정리와 그 응용

Lemma (Morphing Lemma) : 는 벡터공간이라고 하자. 에 대한 생성자들의 집합이라 하고, 에 속하는 벡터들로 구성된 선형독립인 집합(즉, 기저)이라고 하면, 이다. <br />

Theorem (Basis Theorem) : 는 벡터공간이라 하고, 에 대한 모든 기저(basis)는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 Proof : 에 대한 두 기저라고 하자. 를 위의 Morphing Lemma 에 적용하면 라고 할 수 있다. 을 적용하면 이다. 이 둘의 부등식을 결합하면 를 얻을 수 있다.

Theorem : 는 벡터공간이라고 하면, 에 대한 생성자들의 집합이 에 대한 생성자들로 구성된 가장 작은 집합 이 되는 필요충분 조건은 이 집합이 에 대한 기저인 것이다.

  • Proof : 에 대한 생성자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증명해야 하는 것은

    • (1) 만약 에 대한 기저이면 에 대한 생성자들로 구성된 가장 작은 집합이다.

    • (2) 만약 에 대한 기저가 아니면 생성자들로 구성된 보다 더 작은 집합이 존재한다.

  1. 를 기저라고 하고, 에 대한 생성자들로 구성된 가장 작은 집합이라고 하자. 위의 Morphing Lemma 에 의하면, 이고, 따라서 또한 생성자들의 가장 작은 집합이다.

  2. 는 기저가 아니라고 해보자. 기저는 생성자들로 구성된 선형독립 인 집합이다. 그러므로 는 기저가 아니라 했으니, 는 생성자들로 구성된 선형종속인 집합이다. 6.5.4의 Lemma에 따르면 내에 다른 벡터들의 생성에 속하는 일부 벡터들이 있다. 그러므로 Superfluous-Vector Lemma 에 의해, 에서 제거하면 에 대한 생성자들의 집합이 되는 일부 벡터가 존재한다. 따라서 는 생성자들로 구성된 가장 작은 집합이 아니다.

7.1.2 생략


7.2 차원과 랭크 - Dimension and Rank

7.2.1 정의 및 예제

Definition : 벡터공간의 차원 은 그 벡터공간에 대한 기저의 크기로 정의한다. 벡터공간 의 차원은 로 표현한다. <br />

  • Example 7.2.2 : 에 대한 하나의 기저는 표준 기저 이다. 그러므로 의 차원은 기저의 크기인 3, 즉 이다.

  • Example 7.2.3 : 좀 더 일반적으로, 임의의 필드 와 유한집합 에 대해, 에 대한 하나의 기저는 표준기저이고 이것은 벡터들로 구성되므로, 의 차원은 이다.

<br />

Definition : 벡터들의 집합 의 랭크(rank)를 Span 의 차원이라 정의한다. 의 랭크는 rank 로 나타낸다.

  • Example 7.2.6 : 벡터 은 선형종속이다. 그러므로 이 벡터들의 랭크는 보다 작다. 이들 중 임의의 두 벡터는 세 벡터들의 Span에 대한 기저를 형성한다. 따라서 랭크는 이다.

<br />

Proposition : 벡터들로 구성된 임의의 집합 에 대해, rank <br />

Definition : 행렬 에 대해, 행랭크 는 그 행렬의 행의 랭크이고, 열랭크 는 그 행렬의 열의 랭크이다. 즉, 의 행랭크는 Row 의 차원이고, 의 열랭크는 Col 의 차원이다.

  • Example 7.2.10 :

  • 이 행렬의 행벡터는 이고, 위의 Example 7.2.6 에서 살펴보았듯이 행벡터의 랭크는 이므로, 의 행랭크는 이다.

  • 행렬 의 열벡터는 이다. 세 번째 벡터는 영벡터이므로, 열공간을 생성하는 데 필요하지 않다. 나머지 두 벡터는 선형독립이므로 열랭크는 이다.

<br />

  • Example 7.2.11 :

  • 행벡터 들은 선형독립이므로 의 행랭크는 이다.

  • 의 열벡터 들은 처음 세 열은 선형독립이고 은 앞의 세 벡터의 선형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열랭크는 이다.

<br />

위의 두 예제를 통해 행랭크와 열랭크가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우연히 동일한 것이 아니라, 어떤 행렬에 대해서도 행랭크열랭크동일 하다.


7.2.2 기하학적 구조

좌표계에 대해 기하학적으로 이해 해보자. 기하적 객체의 차원은 객체의 점들에 할당되어야 하는 최소 개수의 좌표이다. 좌표의 수는 기저의 크기이고, 기저의 크기는 주어진 벡터들로 구성된 집합의 랭크이다.

  • Span 은 직선, 즉 1차원 객체이다. Span 은 점, 즉 1차원 구조이다. 첫 번째 벡터공간은 차원이 이고 두 번째 벡터공간은 차원이 이다.

  • Span 의 모든 것, 즉 2차원 객체를 구성한다. 반면, Span 은 직선, 즉 1차원 객체이다.

  • Span 의 모든 것, 즉 3차원 객체이다. 반면에, Span 은 평면 즉, 2차원 객체이다.

<br />

7.2.3 생략


7.2.4 상의 벡터공간의 크기

상의 벡터공간 에 대한 차원이라 하고, 에 대한 기저라고 하면, 6.7.1의 Unique Representation Lemma에 의해, 내의 각 벡터는 기저벡터들의 선형결합으로 유일하게 표현된다. 따라서, 내 벡터들의 수는 이 기저벡터들의 선형결합들의 수와 동일하다. 개의 기저벡터가 있으므로, 각 선형결합에는 개의 계수가 있다. 각 계수는 또는 이므로 개의 다른 선형결합이 있다.

7.2.5 에 속하는 벡터들의 임의의 선형독립 집합은 에 대한 기저를 형성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Lemma (Superset-Basis Lemma) : 임의의 벡터공간 와 벡터들로 구성된 임의의 선형독립 집합 에 대해, 의 모든 원소를 포함하는 기저를 가진다.

  • Proof : 6.3.1 에서 보았던 Grow 알고리즘을 사용해보자.


7.2.6 차원 원리(Dimension principle)

Lemma (Dimension Principle) : 만약 의 부분공간(subspace)이면, 다음 성질이 성립한다.

  • Property D1 : 이다.

  • Property D2 : 만약 이면 이다.

    • proof : 에 대한 기저라고 하면, 7.2.5의 Superset-Basis Lemma에 의해 를 포함하는 에 대한 기저 가 있고, 의 크기는 적어도 이다. 이 의미는 Property D1을 증명한다. 만약 의 크기가 정확히 이면 이외의 다른 벡터는 포함하지 않으며, 의 기저는 의 기저임을 보여주어 Property D2를 증명한다.


  • Example 7.2.15 : 라고 해보자. 의 부분공간이다. 집합 은 선형독립이고, 따라서 이다. 이므로 Property D2는 임을 보여준다.

  • Example 7.2.16 : 집합에 대해 이므로, Span 이다. 내의 모든 벡터는 -벡터이므로, Span 의 부분공간이고, Span 이다.


위의 예제를 통해 다음을 알 수 있다.

Proposition : -벡터들로 구성된 임의의 집합의 랭크는 보다 작거나 같다.

7.2.7 생략


7.2.8 Rank 정리

앞의 예제에서 살표보았듯이 행랭크와 열랭크는 동일하다. 이제 왜 행랭크와 열랭크가 같은지 알아보자. <br />

Theorem (Rank Theorem) : 임의의 어떠한 행렬에 대해, 행랭크와 열랭크는 동일하다.

  • Proof : 임의의 행렬 에 대해 행랭크는 의 열랭크보다 작거나 같다. 동일한 주장을 에 적용하면 의 행랭크는 의 열랭크보다 작거나 같다. 즉, 의 열랭크는 의 행랭크보다 작거나 같다. 이 두 부등식을 결합하면 의 행랭크는 의 열랭크와 동일하다. <br />는 행렬이라 하자. 행렬 를 열벡터로 나타내 보자:

  • 의 열랭크라 하고 의 열공간에 대한 기저라 하자. <br /> 의 각 열 에 대해 에 대한 좌표 표현이라 하자. 그러면, 행렬-벡터 곱셈의 선형결합 정의에 의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행렬-행렬 곱셈의 행렬-벡터 정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되며,

  • 이것을 다음 처럼 쓸 수 있다.

  • 개의 열을 가지며 개의 행을 가진다. <br />이제, 를 열 대신에 행들로 구성된 행렬로 생각해 보자.

  • 행렬-행렬 곱셈의 벡터-행렬 정의에 의하면, 의 행 의 행 를 행렬 에 곱한 것이다.

  • 그러므로, 벡터-행렬 곱셈의 선형결합에 의하면 의 모든 행은 의 행들의 선형결합이다. 따라서, 의 행공간은 의 행공간의 부분공간이다. 의 행공간의 차원은 , 즉 의 행의 수보다 작거나 같다. 따라서, 의 행랭크는 보다 작거나 같다. <br />위에서 보았듯이, 임의의 행렬 에 대해 의 행랭크는 의 열랭크보다 작거나 같다. 임의의 행렬 에 대해, 이결과를 에 적용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이 결과를 에 적용하면,

  • 따라서, 의 행랭크는 의 열랭크와 동일하다.

Definition : 행렬의 랭크 는 그 행렬의 열랭크와 동일하고, 이것은 또한 그 행렬의 행랭크와 같다.


7.3 직합 - Direct Sum

7.3.1 정의

는 필드 상의 -벡터들로 구성된 두 개의 벡터공간이라고 하자.

Definition : 만약 가 오로지 영벡터만을 공유한다면 직합 (direct sum)은 아래와 같이 정의하며,

로 나타낸다. 즉, 의 벡터와 의 벡터의 모든 합으로 구성된 집합이다.

  • Example 7.3.3 : Span 라 하고, 의 영공간(null space) 이라 하자. 는 아래의 이유로, 가 성립하지 않는다.

    • 벡터 이므로 내에 있다.

    • 벡터 는 아래와 같이 내에 있다.

  • Example 7.3.4 : Span , Span 라고 하자. 각각은 단일 벡터의 Span이고, 따라서 직선을 형성한다. <br />유일한 교점은 원점(0,0,0)이다. 따라서, 는 성립한다. 이 직합은 Span 이며 두개의 직선을 포함하는 평면이다.


Proposition : 직합(direct sum) 는 벡터공간이다.


7.3.2 직합에 대한 생성자

바로 위의 Example 7.3.4 에서, 에 대한 생성자들의 집합과 에 대한 생성자들의 집합의 합집합을 구하면 직합 에 대한 하나의 생성자 집합이 얻어진다. <br />

Lemma : 아래 집합의 합집합은

  • 의 생성자들의 집합

  • 의 생성자들의 집합

에 대한 생성자들의 집합이다.

  • proof : Span , Span 라고 하면,

    • 내의 모든 벡터는 으로 표현할 수 있다.

    • 내의 모든 벡터는 으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내의 모든 벡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3.3 직합에 대한 기저

Lemma (Direct Sum Basis Lemma) : 의 기저와 의 기저의 합집합은 의 기저이다.

  • Proof : 에 대한 기저라 하고, 에 대한 기저라고 하면, 기저는 생성자들의 집합이므로, 에 대한 생성자들의 집합이다. 이제 기저라는 것을 보이기 위해서 선형독립 이라는 것을 보여주면 된다. 다음 식을 가정해보자.

  • 위의 식은 다음이 성립한다.

  • 좌변은 내의 벡터이고, 우변은 내의 벡터이다. 의 정의에 의하면, 둘 모두에 있는 유일한 벡터는 영벡터이다. 이것은 다음을 보여준다.

  • 위의 식들은 선형독립에 의해 자명하다(trivial).


위의 Lemma(Direct Sum Basis Lemma) 에 의해 다음과 같은 Corollary가 가능하다.

Corollary (Direct-Sum Dimension Corollary) :

위의 Corollary(따름정리)는 Kernel-Image Theorem을 증명하는데 사용할 것 이다.


7.3.4 벡터의 고유분해 - Unique Decomposition

Corollary (Direct-Sum Unique Representation Collorary) : 내의 임의의 벡터는 로 유일하게 표현된다. (단, )

  • Proof : 에 대한 기저라 하고, 에 대한 기저라고 하면, 에 대한 기저이다. 내의 임의의 벡터라고 하자.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로서 나타내는 방법을 고려해보자. 내에 있고, 내에 있다. 의 기저에 대해 나타내고, 의 기저에 대해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Unique-Representation Lemma 에 의해 이므로, 내의 벡터와 내의 벡터의 합으로 유일하게 명시된다.

7.3.5 여부분공간 - Complementary subspace

Definition : 만약 이면, 여부분공간(complementary subspace, complementary: 상호보완적인) 이라 한다.

<br />

Proposition : 임의의 벡터공간 의 임의의 부분공간 에 대해, 을 만족하는 의 부분공간 가 있다.

  • Proof : 에 대한 기저라고 하자. 7.2.5의 Superset-Basis Lemma에 의하면, 를 포함하는 에 대한 기저가 있다. 이 기저를 로 나타내고, Span 이라고 하자. 내의 임의의 벡터 는 이 기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좌표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다.

  • 따라서, 만약 직합(direct-sum)이 옳다는 것을 보여 줄 수 있으면, 즉 둘 모두에 속하는 유일한 벡터는 영벡터라는 것을 보여줄 수 있으면 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 어떤 벡터 둘 모두에 속한다고 하면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이며, 는 영벡터임을 보여준다.


7.4 차원과 선형함수

선형함수가 가역적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자. 이것은 또한 행렬이 가역적인지 판단한느 기준을 제공해 준다. 또한 이러한 기준은 중요한 정리인 Kernel-Image 정리를 기반으로 한다.


7.4.1 선형함수의 가역성

선형함수 가 가역적인지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알아야 하는 것은 5장에서 배웠던 단사(one-to-one)인지 전사(onto)인지의 여부이다. <br />

One-to-One Lemma에 의하면, 가 단사함수일 필요충분조건은 그 커널(kernel)은 자명한 경우 즉, 인 경우이다. <br/>

5.10.6에서 의 상은 Im 이다. 따라서, 가 전사함수일 필요충분조건은 Im 인 경우이다. <br />

Im 의 부분공간임을 보여줄 수 있다. 7.2.6의 Dimension principle Lemma에 의하면 가 전사함수일 필요충분 조건은 Im 이다.

  • 선형함수 이고 Im 이면 가역적(Invertible)이다.


7.4.2 가장 큰 가역적인 서브함수(Subfunction)

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비가역적 선형함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여기서 가역적인 서브함수 를 정의해보자. 여기서 서브함수의 부분집합이고 의 부분집합이며 의 모든 원소에 대해 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br />

먼저, 가 전사함수가 되도록 를 아래의 그림처럼 선택한다. 그리고, 에 대한 기저라고 하자.

그런다음, 의 원상(pre-image)라고 하자. 즉, 을 만족하는 내의 임의의 벡터들 을 아래의 그림처럼 선택하고, 는 Span 라고 정의하자.

마지막으로 라고 정의한다. <br />

Lemma : 는 전사함수이다.

  • proof : 는 공역 내의 임의의 벡터라고 하고, 다음을 만족하는 스칼라 이 있다.

  • 는 선형이므로,

  • 따라서, 의 상이다.

<br />

Lemma : 는 단사함수이다.

  • Proof : One-to-One Lemma에 의해, 의 커널(kernel)이 자명한, 즉 임을 보여준면 된다. 내에 있고 라고 해보자. Span 이므로, 다음을 만족하는 스칼라 이 존재한다.

  • 양변에 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 은 선형독립이므로, 이고, 이다.

<br />

Lemma : 에 대한 기저를 형성한다.

  • Proof : 의 생성이라고 정의되었기 때문에, 이 벡터들이 선형독립이라는 것만 보여주면 된다. 아래의 식을 가정해 보자.

  • 양변에 를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은 선형독립이므로, 이다.

<br />

Example 7.4.4 : 이라 하고, 라고 정의하자. Col Span 이라고 정의하자. 에 대한 하나의 기저는 , 이다. <br />

이제, 에 대한 원상(pre-image)를 선택하자. 에 대해 계산된 원상은 아래와 같다.

Span 라고 하면, 에 의해 정의된 함수 은 전단사함수이다.


7.4.3 Kernel-Image 정리

함수 에서 가역 서브함수 를 구성하는 것은 서브함수의 정의역을 원래 선형함수 의 커널에 연관시킨다.<br />

Lemma :

  • Proof : 다음 두 가지 항목을 증명해야 한다.

    • 는 영벡터만을 공유한다.

    • 내의 모든 벡터는 내의 벡터와 내의 벡터의 합이다.

  • 이미 위의 7.4.2 에서 의 커널은 자명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에 속하는 의 유일한 벡터는 영(0)이고, 이를 통해 '는 영벡터만을 공유한다.' 는 증명이 된다.

  • 내의 임의의 벡터이고, 라고 하자. 는 전사함수이므로, 그 정의역인 를 만족하는 벡터 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고, 따라서 이 성립한다. 따라서, 내에 있고, 이다.


Example 7.4.6 : Example 7.4.4에서 이라 하고, 라고 정의하자. 에 대한 기저는 위의 Example 7.4.4에서 로 구성된다. 의 커널은 Span 이다. 그러므로 (Span ) (Span ) 이다.


Theorem (Kernel-Image Theorem) : 임의의 선형함수 에 대해,

  • Proof : 임을 보여준다. 7.3.3의 Direct-Sum Dmension Corollary에 의하면,

  • 에 대한 기저를 형성하고, 이러한 벡터들의 수 에대한 기저의 크기와 동일하다.


7.4.4 선형함수의 가역성 - 다시보기

위의 Kernel-Image Theorem을 이용해 선형함수의 가역성을 판단하는 데 좀 더 나은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Theorem (Linear-Function Invertibility Theorem) : 는 선형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가 가역적일 필요충분조건은 이고, 이다.


7.4.5 Rank-Nullity 정리

행렬 에 대해, 라고 하자. 위의 Kernel-Image Theorem에 의해, 이다. 의 커널은 의 영공간(Null Space)이고, 행렬-벡터 곱셈의 선형결합 정의에 의해 의 상은 의 열공간이고, 따라서 다음을 얻는다.

의 차원은 , 즉 의 열의 개수이고, 의 열공간의 차원은 의 랭크라고 한다. 행렬 의 영공간의 차원은 Nullity 라고한다. <br />

Theorem (Rank-Nullity Theorem) : 임의의 -열 행렬 에 대해,

7.4.6 생략


7.4.7 행렬의 가역성

Corollary : 행렬이라고 하면, 가 가역적이 될 필요충분조건은 이고, 의 열들은 선형독립일 때다.

  • Proof : 는 필드라고 하고, 라 하면, 가 가역행렬이 될 필요충분조건은 가 가역함수인 것이다. 7.4.4의 Theorem에 의하면, 가 가역적일 필요충분조건은 이고 이다. 즉, 이고, 이다. 또한, 일 필요충분조건은 행렬의 열벡터들이 선형결합인 것이다.


Corollary : 가역행렬의 전치행렬은 가역적이다.

  • Proof : 는 가역행렬이라고 하면, 는 정방행렬이고 그 열들은 선형독립이다. 은 열들의 개수라고 하고, 행렬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자.

  • 의 열들은 선형독립이므로, 의 랭크는 이다. 는 정방행렬이므로, 개의 행을 가진다. 의 행랭크는 이고, 그 행들은 선형독립이다. 전치행렬 또한 마찬가지다.


Corollary : 는 정방행렬이고 는 단위행렬이라고 하면, 는 서로의 역행렬이다.

  • Proof : 행렬이라 하고, 행렬이라고 하면, 단위행렬 이다. 의 열들은 선형독립이라는 것을 보여주자. 을 만족하는 임의의 벡터라고 하면, 이고, 이므로, 이다. 는 가역적이므로 의 역행렬을 로 나타내고 단위행렬 이다.

Example 7.4.15 : 은 정방행렬이지만 열벡터들이 선형독립이 아닌 선형종속이므로 이 행렬은 가역적이지 않다.


7.4.8 행렬의 가역성과 기저 변경

동일한 공간의 기저 에 대해, 행렬 가 존재하며, 이 행렬 를 곱하면 에 대한 어떤 벡터의 좌표 표현이 동일한 벡터의 에 대한 좌표표현으로 변환된다. 행렬 는 가역적이다. 두 기저는 동일한 크기를 가져야 하며, 따라서 는 정방행렬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