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그래프이론
- effective python
- 코딩더매트릭스
- GRU
- yarn
- HelloWorld
- recursion
- Sort
- RNN
- LSTM
- python
- 하이브
- hive
- C
- 알고리즘
- tensorflow
- NumPy
- 텐서플로
- codingthematrix
- 주식분석
- Java
- collections
- 하둡2
- scrapy
- 딥러닝
- 파이썬
- hadoop2
- C언어
- 선형대수
- graph
- Today
- Total
EXCELSIOR
[논문 리뷰] LexRank: Graph-based Lexical Centrality as Salience in Text Summarization 본문
[논문 리뷰] LexRank: Graph-based Lexical Centrality as Salience in Text Summarization
Excelsior-JH 2019. 11. 29. 02:20본 논문에서 제안한 LexRank는 Graph-based Extractive Summarization에 해당한다.
LexRank는 문서 내 문장을 하나의 노드(node)로하는 그래프 표현하고, 한 문장의 중요도를 고유벡터 중심성(eigenvector centrality)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1. INTRODUCTION
Summary는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Topic-oriented summaries :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주제(topic)를 중심으로 요약하는 방법
generic summaries: 원본 텍스트가 포함하고 있는 전반적인 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 일반적인 요약
multi-document extractive generic text summarization을 중점으로 다룬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summarization 방법은 클러스터 내 각 문장의 중심성(centrality)을 평가하고 요약에 포함할 문장을 추출하는 것이다.
2. SENTENCE CENTRALITY AND CENTROID-BASED SUMMARIZATION
원본 텍스트에서 중요 문장을 추출하는 방법인 Extractive summarization을 클러스터에서 가장 central한 문장을 식별하는 작업으로 볼 수 있다.
문장의 중심성(centrality)은 대체로 각 문장이 포함하고 있는 단어의 중심성을 문장의 중심성으로 정의한다.
단어의 중심성을 평가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벡터 공간(vector space)에서 문서 클러스터의 중심(centroid)을 구하는 것이다.(?)
클러스터의 중심은 사전에 정의한 임계값(threshold)을 넘는 tf-idf 점수를 가지는 단어로 구성된 문장(pseudo-document)이다.
3. CENTRALITY-BASED SENTENCE SALIENCE
LexRank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에서 사용되는 개념인 prestige를 기반으로 한다.
"prestige"와 "centrality"는 개념은 서로 동일하지만 전자의 경우 방향 그래프(directed graph)에서 사용되고, 후자의 경우 무방향 그래프(undirected graph)에서 사용된다.
문서 클러스터는 서로 연관되어 있는 문장의 네트워크로 볼 수 있다.
서로 관련이 있는 문장들은 비슷할 것이며, 관련이 적은 문장들은 비슷한 정도가 낮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른 많은 문장들과 유사한 문장이 문서 클러스터의 중심(central or salient)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중심성(centrality)에 대한 정의는 다음 두 가지를 따른다.
먼저, 두 문장간의 유사도(similarity)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둘 째, 유사도가 정의된 후 중심성을 어떻게 구할 것인가.
두 문장간의 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해 BoW(Bag-of-Words) 모델을 이용해 각 문장을 -차원의 벡터로 표현한다. 여기서 -차원은 코퍼스(corpus)내의 단어 수(vocabulary size)이다.
각 문장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STM(Sentence Term Matrix)형태로 표현되며 각 문장의 단어는 tf-idf로 표현된다.
두 문장간의 유사도는 코사인 유사도(cosine-similarity)로 정의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 코사인 유사도를 idf-modified-cosine이라고 정의한다.
아래의 식에서 는 문장 에 나타난 단어 의 term frequency를 의미한다.
3.1 Degree Centrality
식 (1)을 사용하여 각 문장들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아래의 표와 같이 유사도에 대한 임계값(threshold)을 조정하여 Degree(해당 노드에 연결된 엣지 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degree centrality를 각 노드의 degree로 정의한다.
위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임계값에 따라 각 노드의 degree가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d4s1
의 문장은 임계값이 0.3이 될 때 degree가 1로 급격하게 줄어든다.
3.2 Eigenvector Centrality and LexRank
각 노드(문장)의 중심성을 계산할 때 단순히 degree를 가지고 구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못하다. 예를 들어, 소셜네트워크(SNS) 상에서 팔로우 수 뿐만 아니라 누가 팔로우 하고 있는지에 따라 그 사람의 유명한 정도가 정해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문장에 대해서도 동일한 아이디어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degree를 이용한 중심성 계산
PageRank를 적용한 중심성 계산
LexRank를 이용한 중심성 계산
이렇게 총 3가지 단계에 걸쳐서 설명하고 있다.
각 단계별로 예제와 같이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자.
Degree를 이용한 Centrality 계산
우선, degree를 사용하여 각 노드의 중심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각 노드의 degree를 사용하여 centrality를 계산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위의 식 (3)에서 는 노드 에 대한 centrality를 의미하고, 는 노드 와 연결되어 있는 노드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그리고 는 노드 에 대한 degree를 나타낸다.
위의 식 (3)을 행렬 형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는 유사도 그래프에 대한 인접 행렬(adjacent matrix, )을 이용해 아래의 식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행렬 의 행의 합은 각 노드의 degree를 의미한다.
위의 예제에서 undirected graph를 선정한 이유는 문장과 문장간의 연결에는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undirected graph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undirected graph를 directed graph로 나타낸 것이 오른쪽 그래프이다.
위의 directed graph에 대한 인접 행렬 는 다음과 같다.
위의 인접 행렬 를 이용하여 식 (3)의 각 노드에 대한 centrality를 계산 해보자.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각 노드에 대한 초기값 가 필요한데, 여기서는 로 설정하였다.
위의 과정을 식(5)와 같이 행렬 형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위의 식들을 예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위의 식 (5)을 고유값(eigenvalue)이 1이고, left-고유벡터(eigenvector) 로 이루어진 식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고유벡터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수학적 지식이 필요하다.
Markov Chain
위의 식(5)가 성립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학적 지식이 바로 마코프 체인(Markov Chain)이다.
마코프 체인에서의 확률 행렬(Stochastic Matrix) 는 전이 행렬(Transition Matrix)이라고 한다.
확률 행렬의 원소 는 마코프 체인에서의 상태(state, 노드에 해당) 에서 로 전이할() 확률을 의미한다.
는 번의 전이에 대해 로 전이할 확률을 의미하며, 마코프 체인에서의 확률 행렬 는 다음과 같이 수렴하게 된다. 아래의 식에서 을 의미하며, 은 Stationary distribution(고정된 확률분포?)에 해당한다.
Perron-Frobenius 정리에 따르면, irreducible하고 aperiodic한 마코프 체인은 위의 식(7)과 같이 확률 행렬 가 수렴(convergence)하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위의 식(6)에 대한 행렬 를 마코프 체인의 전이 행렬(Transition Matrix) 또는 확률 행렬(Stochastic Matrix)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행렬 가 반드시 irreducible하고 aperiodic한다고 보장할 수는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age et al.(1998)은 그래프 내에서 임의의 노드로 이동(점프)할 수 있도록 하는 PageRank라는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이 PageRank에서 제안한 damping factor가 바로 이러한 역할을 한다.
PageRank를 통해 periodic하고 reducible한 그래프가 irreducible하고 aperiodic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PageRank를 적용한 Centrality 계산
위에서 살펴본 PageRank를 반영한 centrality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위의 식(8)에서 은 그래프 안의 전체 노드 개수를 의미하고, 는 다른 노드로 이동할 "damping factor"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로 설정하였다.
위의 식(8)을 행렬 형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위의 식 (9)에서 행렬 는 정방 행렬(square matrix)로 대각부분이 인 대각행렬(diagonal matrix)이다.
위의 식 (9)에서 부분이 마코프 체인의 전이 행렬이 된다.
마코프 체인에서 랜덤 워커(random walker)는 확률로 인접 상태(adjacent state)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의 확률로 다른 상태로 점프하게 된다.
위에서 살펴본 예제를 PageRank를 이용해 centrality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값 가 필요한데, 여기서는 로 설정하였다.
위의 과정을 행렬 형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LexRank를 적용한 Centrality 계산
기존의 PageRank는 인터넷 상에서의 웹 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directed graph로 나타내어 적용한 알고리즘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장의 경우 문장간의 유사도를 계산하기 하여 그래프를 그리기 위해 식 (1)을 사용한다. 문장 간의 유사도는 방향이 없는 undirected graph 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새로운 stationary distribution을 가지는 전이 행렬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적용한 알고리즘인 lexical PageRank 즉, LexRank를 다음과 같이 제안 했다.
본 논문에서는 LexRank를 두 가지로 나누는데,
먼저, threshold 값을 통해 노드의 연결을 제한하는 LexRank
그리고, threshold값이 없고, 모든 노드들이 idf-modified-cosine의 유사도로 연결되어 있는 노드에 대한 LexRank가 있다. 이 때의 Lexrank를 Continuous LexRank라고 한다.
위에서 살펴본 예제를 LexRank를 이용해 centrality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두 문장(노드) 간의 idf-modified-cosine(imc)은 임의로 아래의 그림과 같이 설정하였고, 초기값 또한 로 설정하였다.
위의 과정을 행렬 형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LexRank Algorithm
LexRank의 전체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다.
먼저, 문장 간의 idf-modified-cosine을 구한 뒤 이를 이용하여 그래프를 구성한다.
그런 다음, 마코프 체인에서 stationary distribution을 구하는 방법 중 하나인 power method를 이용해 LexRank score를 계산한다.
4. EXPERIMENT
본 논문에서 실험에 사용한 데이터 셋은 DUC 2003 과 DUC 2004 데이터 셋을 사용하였다.
[Task 2]에는 뉴스 클러스터에 대한 일반적인 요약이 포함되어 있다.
DUC 2003은 30개의 뉴스 클러스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DUC 2004는 50개의 뉴스 클러스터로 구성 되어 있다.
[Task 4]에서는 두 개의 언어(cross-lingual)에 대한 요약이 포함되어 있다.
[Task 4a]는 Arabic-to-English에 대한 기계 번역이 이루어진 24개의 뉴스 클러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Task 4b]는 동일한 Arabic-to-English에 대해 사람이 번역한 데이터 셋이다.
LexRank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로는 ROUGE score를 사용했다.
5. RESULTS
아래의 [Table 3]은 Degree를 이용한 Centrality 를 계산한 것과 LexRank, 그리고 Continuous LexRank에 대해 Task 2, Task 4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전반적으로 LexRank 및 Cont. LexRank의 ROUGE score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추가적으로 Noise 데이터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아래의 [Table 6]은 각 뉴스 클러스터에 랜덤한 2개의 뉴스가 포함 되었을 때의 성능을 비교한 표이다.
마찬가지로, LexRank 및 Cont. LexRank의 ROUGE score가 전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