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ython
- 코딩더매트릭스
- RNN
- yarn
- 선형대수
- tensorflow
- C
- hive
- HelloWorld
- effective python
- NumPy
- C언어
- Sort
- GRU
- 그래프이론
- 주식분석
- recursion
- graph
- hadoop2
- 텐서플로
- 파이썬
- 하둡2
- LSTM
- Java
- codingthematrix
- 알고리즘
- 딥러닝
- 하이브
- collections
- scrapy
- Today
- Total
EXCELSIOR
TensorFlow Feature Column 본문
tf.feature_column
을 이용해 모델에 맞게 데이터를 변형하거나, 데이터의 형식을 지정해줄 수 있다. 이러한 tf.feature_column
을 통해 처리한 데이터를 Estimator
(여기 참고)에 쉽게 적용하여 모델링 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텐서플로의 feature_column
을 이용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과 Estimator
가 아닌 텐서플로의 Low-Level API를 이용해 feature_column
의 결과가 어떠한 모양을 가지는지, 그리고 여러개의 범주형 데이터에 대한 입력층(input layer)의 형태는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데이터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Feature Engineering, 그리고 범주형 데이터의 표현방법에 대해 살펴보자.
1. Feature Engineering 이란
데이터는 아래의 그림처럼 크게 범주형 데이터(Categorical, qualitative)와 수치형 데이터(Numerical, quantitative)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형식을 머신러닝/딥러닝 모델에 맞게 데이터를 표현(data representation)하는 것이 중요하며, 적합한 데이터의 표현을 찾는 것을 Feature Engineering(특성 공학)이라고 한다.
1.1 One-Hot-Encoding (가변수, Dummy variable)
범주형 변수를 표현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원-핫-인코딩(one-hot-encoding)이다. 원-핫-인코딩을 가변수(dummy variable)이라고도 하는데, 범주형 변수를 0 또는 1 값을 가지는 새로운 특성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아래의 그림처럼 'color'라는 특성에서 'red, green, blue'의 범주형 데이터를 원-핫-인코딩을 적용하면 각 색깔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1'을 나머지 부분을 '0'으로 바꿔 3개의 특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위의 그림에서처럼 각 색깔('red, green, blue')을 pandas
, sklearn
, tensorflow
를 이용해 원-핫-인코딩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pandas의 get_dummies()를 이용한 one-hot-encoding
pandas
의 get_dummies()
함수를 이용해 간편하게 원-핫-인코딩 할 수 있다. get_dummies()
함수는 문자열 같은 object
나 category
타입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원-핫-인코딩 해준다.
import pandas as pd
colors = ['red', 'green', 'blue', 'red']
df = pd.DataFrame(colors, columns=['color'])
df_dummies = pd.get_dummies(df)
display(df)
display(df_dummies)
Scikit-Learn의 OneHotEncoder 이용한 one-hot-encoding
scikit-learn의 OneHotEncoder
를 사용하여 원-핫-인코딩을 해줄 수 있다. 하지만, OneHotEncoder
는 int
형식의 array
를 입력값으로 받기 때문에, LabelEncoder
를 이용해 문자열(str
) 타입인 색깔을 int
로 인덱싱 해준 후에 OneHotEncoder
로 원-핫-인코딩 해줘야 한다.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LabelEncoder, OneHotEncoder
# str -> int : indexing
le = LabelEncoder( ).fit(colors)
le_color = encoder.transform(colors)
le_color = le_color.reshape(-1, 1)
# indexing -> one-hot
ohe = OneHotEncoder(sparse=False).fit(le_color)
ohe_color = ohe.transform(le_color)
print(ohe_color)
'''
[[0. 0. 1.]
[0. 1. 0.]
[1. 0. 0.]
[0. 0. 1.]]
'''
TensorFlow의 keras.utils.to_categorical()을 이용한 one-hot-encoding
TensorFlow의 tf.keras.utils.to_categorical()
을 이용해 원-핫-인코딩을 해줄 수 있다. to_categorical()
또한, int
형식의 array
를 입력값으로 받기 때문에, LabelEncoder
를 이용해 문자열(str
) 타입인 색깔을 int
로 인덱싱 해준 후에 OneHotEncoder
로 원-핫-인코딩 해준다.
import tensorflow as tf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LabelEncoder
# str -> int : indexing
le = LabelEncoder( ).fit(colors)
le_color = encoder.transform(colors)
le_color = le_color.reshape(-1, 1)
# indexing -> one-hot
ohe_color = tf.keras.utils.to_categorical(le_color)
print(ohe_color)
'''
[[0. 0. 1.]
[0. 1. 0.]
[1. 0. 0.]
[0. 0. 1.]]
'''
1.2 구간 분할(Binning), 버킷화(Bucketization), 이산화(Discretization)
선형 모델(linear model)은 선형 관계로만 모델링하므로 특성(feature)이 하나일 때에는 직선으로 적합(fitting)된다. 이러한 선형모델을 더 좋게, 강력하게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수치형 데이터인 하나의 특성을 일정한 구간으로 분할하여 여러개의 특성으로 만들어 주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을 구간 분할(binning), 버킷화(bucketization) 또는 이산화(discretization)라고 한다. 즉, 수치형 데이터를 구간 분할을 통해 범주형 데이터로 바꿔주는 것이다.
아래의 예제는 Scikit-Learn의 LinearRegression
을 이용해 샘플 데이터셋에 적용한 것과 구간 분할 후 데이터가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원-핫-인코딩을 이용해 변환한 다음 LinearRegression
을 적용한 것을 비교한 코드이다.
from sklearn.linear_model import LinearRegression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OneHotEncoder
# create sample dataset
def make_wave(n_samples=100):
rnd = np.random.RandomState(42)
x = rnd.uniform(-3, 3, size=n_samples)
y_no_noise = (np.sin(4 * x) + x)
y = (y_no_noise + rnd.normal(size=(len(x)))) / 2
return x.reshape(-1, 1), y
X, y = make_wave(n_samples=100)
line = np.linspace(-3, 3, 1000, endpoint=False).reshape(-1, 1)
#######################
# 1. LinearRegression #
#######################
reg = LinearRegression().fit(X, y)
#####################################
# 2. LinearRegression after binning #
#####################################
# binning
bins = np.linspace(-3, 3, 11)
# print("bins: {}".format(bins))
# 데이터가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labeling
which_bin = np.digitize(X, bins=bins)
# print("\n Data points: \n", X[:5])
# print("\n 데이터 포인트의 소속 구간: \n", which_bin[:5])
encoder = OneHotEncoder(sparse=False)
encoder.fit(which_bin)
# One-hot encoding으로 변환
X_binned = encoder.transform(which_bin)
# print(X_binned[:5])
line_binned = encoder.transform(np.digitize(line, bins=bins))
reg_ohe = LinearRegression().fit(X_binned, y)
plt.plot(line, reg.predict(line), label='linear regression')
plt.plot(line, reg_ohe.predict(line_binned),
label='linear regression binned')
plt.plot(X[:, 0], y, 'o', c='k')
plt.vlines(bins, -3, 3, linewidth=1, alpha=.2)
plt.ylabel("Regression output")
plt.xlabel('Input feature')
plt.legend(loc='best');
1.3 특성 교차(Feature Cross)
특성 교차(feature cross)는 두 개 이상의 특성(feature)들을 곱하여 새로운 특성을 만드는 방법이다. 특성 교차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비선형(non-linear)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사용할 수 있다. 아래의 왼쪽 그림에서 선형으로 분리할 수 없었던 문제를 특성 교차를 추가해 줌으로써 비선형 문제를 선형모델로 학습시킬 수 있게 된다.
범주형 데이터의 특성 교차
특성 교차는 범주형(categorical) 데이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아래의 그림은 California Housing Price 데이터셋에 서 위도(latitude)와 경도('longitude')를 각각 5개의 구간으로 분할(binning)한 뒤 특성 교차를 적용한 것으로 노란색 박스 부분을 원-핫-인코딩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 (5 x 5)
특성 교차의 임베딩(Embedding)
위에서 그림에서 처럼 위도(latitude)와 경도(longitude)를 각각 5개의 구간으로 분할(binning)한 뒤 특성 교차를 이용해 노란색 박스 부분을 원-핫-인코딩으로 나타내면 25차원 중 하나만 '1'이고 나머지 24개는 '0'인 스파스(Sparse)한 데이터로 표현된다(sparse representation). 만약, 범주형 데이터의 차원이 커질수록 특성교차의 원-핫-인코딩은 더욱 Sparse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핫-인코딩이 아닌 저차원으로 매핑해주는 임베딩(embedding)을 이용한다.
2. TensorFlow Feature Column
텐서플로에서는 tf.feature_column
을 이용해 위에서 살펴본 Feature Engineering 방법들을 적용할 수 있다. tf.feature_column
은 크게 CategoricalColumn
과 DenseColumn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둘을 동시에 상속받는 bucketized_column
이 있다.
2.1 categorical_column_with_vocabulary_list
tf.feature_column.categorical_column_with_vocabulary_list()
는 str
로 구성된 리스트를 범주형 데이터로 나타낸다. categorical_column_with_vocabulary_list()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나중에 살펴볼 indicator_column
을 이용해 Multi-hot-encoding으로 wrapping하거나, embedding_column
을 이용해 저차원으로 임베딩으로 wrapping 해줘야 한다.
아래의 예제는 str
타입의 ['Python', 'Java', 'C++']
리스트를 categorical_column_with_vocabulary_list()
를 사용하여 범주형 데이터로 나타낸 뒤 indicator_column()
을 이용해 멀티-핫-인코딩 해준 코드이다.
# categorical variable
programming = tf.feature_column.categorical_column_with_vocabulary_list(
key='programming',
vocabulary_list=['Python', 'Java', 'C++'])
# multi-hot-encoding
programming_mh = tf.feature_column.indicator_column(programming)
feature_columns = [programming_mh]
features = {
'programming': ['Python', 'Java', 'C++'],
}
# input value
input_layer = tf.feature_column.input_layer(
features=features,
feature_columns=feature_columns)
# 결과값 확인
with tf.Session() as sess:
tf.global_variables_initializer().run()
tf.tables_initializer().run()
inputs = input_layer.eval()
print(inputs)
'''
[[1. 0. 0.] # Python
[0. 1. 0.] # Java
[0. 0. 1.]] # C++
'''
2.2 indicator_column
tf.feature_column.indicator_column()
은 범주형 데이터를 멀티-핫-인코딩(multi-hot)으로 나타낸다. 아래의 예제는 2.1의 예제를 이어서 ['Python', 'Python', 'C++']
을 멀티-핫-인코딩 해준 코드이다.
feature_columns = [programming_mh]
features = {
'programming': [['Python', 'Python', 'C++']],
}
# input value
input_layer = tf.feature_column.input_layer(
features=features,
feature_columns=feature_columns)
# 결과값 확인
with tf.Session() as sess:
tf.global_variables_initializer().run()
tf.tables_initializer().run()
inputs = input_layer.eval()
print(inputs)
'''
[[2. 0. 1.]] # Python: 2, Java: 0, C++: 1
'''
2.3 numeric_column
tf.feature_column.numeric_column()
은 수치형 데이터(numerical)를 나타낸다.
이제부터 나오는 예제들은 California Housing Price 데이터셋 을 가지고 작성한 코드이다. 해당 데이터셋은 아래의 코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import pandas as pd
cf_housing_df = pd.read_csv('https://storage.googleapis.com/mledu-datasets/california_housing_train.csv')
cf_housing_df['median_house_value'] = cf_housing_df['median_house_value'] / 1000.0
cf_housing_df.head()
아래의 코드는 위도(latitude)와 경도(longitude)를 numeric_column()
을 이용해 수치형 데이터로 나타낸 것이다.
longitude = tf.feature_column.numeric_column("longitude")
latitude = tf.feature_column.numeric_column("latitude")
feature_columns = [longitude,latitude]
features = {
'longitude': [-114.31],
'latitude': [34.19]
}
input_layer = tf.feature_column.input_layer(
features=features,
feature_columns=feature_columns)
with tf.Session() as sess:
inputs = input_layer.eval()
print(inputs)
'''
[[ 34.19 -114.31]]
'''
2.4 bucketized_column
tf.feature_column.bucketized_column()
은 수치형 데이터를 구간 분할(binning), 즉 버킷화(bucketization)하여 나타낸다. boundaries
인자에 구간을 설정해주면, 해당 구간에 맞춰 원-핫-인코딩을 해준다. 예를 들어, boundaries=[0., 1., 2.]
와 같이 설정하면 (-inf, 0.)
, [0., 1.)
, [1., 2.)
, and [2., +inf)
로 버킷화 한다.
아래의 예제는 2.3에서 numeric_coumn()
을 이용해 수치형 데이터로 나타내준 다음 bucketized_column()
을 이용해 버킷화 해준 것이다.
import numpy as np
# boundary 설정 함수 (min-max)
def get_minmax_based_boundaries(feature_values, num_buckets):
min_feature_values = feature_values.min()
max_feature_values = feature_values.max()
boundaries = np.linspace(min_feature_values, max_feature_values, num_buckets-1)
return boundaries.tolist()
# 위도
latitude = tf.feature_column.numeric_column("latitude")
# Divide latitude into 5 buckets
bucketized_latitude = tf.feature_column.bucketized_column(
latitude, boundaries=get_minmax_based_boundaries(
cf_housing_df['latitude'], 5))
feature_columns = [bucketized_latitude]
input_layer = tf.feature_column.input_layer(
features={'latitude': [33]},
feature_columns=feature_columns)
with tf.Session() as sess:
inputs = input_layer.eval()
print(inputs)
print(bucketized_latitude.boundaries)
'''
[[0. 1. 0. 0. 0.]]
(32.54, 35.67666666666667, 38.81333333333333, 41.95)
'''
# 경도
longitude = tf.feature_column.numeric_column("longitude")
# Divide longitude into 5 buckets
bucketized_longitude = tf.feature_column.bucketized_column(
longitude, boundaries=get_minmax_based_boundaries(
cf_housing_df["longitude"], 5))
feature_columns = [bucketized_longitude]
input_layer = tf.feature_column.input_layer(
features={'longitude': [-123.3]},
feature_columns=feature_columns)
with tf.Session() as sess:
inputs = input_layer.eval()
print(inputs)
print(bucketized_longitude.boundaries)
'''
[[0. 1. 0. 0. 0.]]
(-124.35, -121.00333333333333, -117.65666666666667, -114.31)
'''
2.5 crossed_column
tf.feature_column.crossed_column()
은 범주형 특성(feature)들에 대해 특성 교차(feature cross)를 제공해 준다. 다음 예제는 '1.3 특성 교차'에서도 살펴 보았던 위도(latitude)와 경도('longitude')를 각각 5개의 구간으로 분할(binning)한 뒤 특성 교차를 적용한 것이다.
# feature cross
long_x_lat = tf.feature_column.crossed_column(
[bucketized_longitude, bucketized_latitude], 5*5)
# crossed feature -> one-hot(indicator column)
long_x_lat_ohe = tf.feature_column.indicator_column(long_x_lat)
feature_columns = [long_x_lat_ohe]
input_layer = tf.feature_column.input_layer(
features={'longitude': [-123], 'latitude': [41]},
feature_columns=feature_columns)
with tf.Session() as sess:
inputs = input_layer.eval()
print(inputs)
'''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
crossed_column()
은 hash_bucket_size
를 인자로 받는다. 이 hash_bucket_size
에 따라 특성 교차는 해시화(여기 참고, 예를들어 feature_cross % hash_bucket_size
) 되어 원-핫-인코딩된다. 하지만, hash_bucket_size
가 feature_cross
(위의 예제에서는 25) 보다 작을 경우, 해시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2.6 embedding_column
tf.feature_column.embedding_column()
은 원-핫-인코딩과 같이 Sparse한 범주형 데이터를 저차원으로 임베딩하여 나타내 준다. 아래의 예제는 '2.5 crossed_column'에서 위도(latitude)와 경도('longitude')를 각각 5개의 구간으로 분할(binning)한 뒤 특성 교차를 적용한 후 6개의 차원으로 랜덤하게 임베딩한 코드이다.
embed_long_x_lat = tf.feature_column.embedding_column(
long_x_lat, 6)
feature_columns = [embed_long_x_lat]
input_layer = tf.feature_column.input_layer(
features={'longitude': [-123], 'latitude': [41]},
feature_columns=feature_columns)
with tf.Session() as sess:
tf.global_variables_initializer().run()
inputs = input_layer.eval()
print(inputs)
'''
[[-0.09309867 0.29612085 0.13521875 -0.1804411 -0.17048304 0.23914893]]
'''
3. 텐서플로 Low-Level API를 이용해 범주형 데이터 모델링
위에서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텐서플로의 Low-Level을 이용해 California Housing Price 데이터셋에서 주택가격을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어 보도록 하자.
3.1 California Housing Price 데이터셋 로드
cf_housing_df = pd.read_csv('https://storage.googleapis.com/mledu-datasets/california_housing_train.csv')
cf_housing_df['median_house_value'] = cf_housing_df['median_house_value'] / 1000.0
columns = cf_housing_df.columns.tolist()[:-1]
for column in columns:
cf_housing_df[column] = cf_housing_df[column].apply(lambda row: [row])
cf_housing_df.head()
train_x, train_y = cf_housing_df[:12000], cf_housing_df['median_house_value'][:12000]
test_x, test_y = cf_housing_df[12000:], cf_housing_df['median_house_value'][12000:]
train_y, test_y = train_y.values.reshape(-1, 1), test_y.values.reshape(-1, 1)
3.2 각 특성 버킷화 하기
# boundary 설정 함수 (min-max)
def get_minmax_based_boundaries(feature_values, num_buckets):
min_feature_values = feature_values.min()
max_feature_values = feature_values.max()
boundaries = np.linspace(min_feature_values, max_feature_values, num_buckets-1)
return boundaries.tolist()
longitude = tf.feature_column.numeric_column("longitude")
latitude = tf.feature_column.numeric_column("latitude")
housing_median_age = tf.feature_column.numeric_column("housing_median_age")
households = tf.feature_column.numeric_column("households")
median_income = tf.feature_column.numeric_column("median_income")
# Divide longitude into 5 buckets.
bucketized_longitude = tf.feature_column.bucketized_column(
longitude, boundaries=get_minmax_based_boundaries(
train_x["longitude"].apply(lambda x: x[0]), 5))
# Divide latitude into 5 buckets.
bucketized_latitude = tf.feature_column.bucketized_column(
latitude, boundaries=get_minmax_based_boundaries(
train_x["latitude"].apply(lambda x: x[0]), 5))
# Divide housing_median_age into 7 buckets.
bucketized_housing_median_age = tf.feature_column.bucketized_column(
housing_median_age, boundaries=get_minmax_based_boundaries(
train_x["housing_median_age"].apply(lambda x: x[0]), 7))
# Divide households into 7 buckets.
bucketized_households = tf.feature_column.bucketized_column(
households, boundaries=get_minmax_based_boundaries(
train_x["households"].apply(lambda x: x[0]), 7))
# Divide median_income into 7 buckets.
bucketized_median_income = tf.feature_column.bucketized_column(
median_income, boundaries=get_minmax_based_boundaries(
train_x["median_income"].apply(lambda x: x[0]), 7))
# Feature Cross: longitude x latitude
long_x_lat = tf.feature_column.crossed_column(
set([bucketized_longitude, bucketized_latitude]), hash_bucket_size=5*5)
# crossed feature -> one-hot(indicator column)
long_x_lat_ohe = tf.feature_column.indicator_column(long_x_lat)
features = {
'longitude': train_x['longitude'].tolist(),
'latitude': train_x['latitude'].tolist(),
'housing_median_age': train_x['housing_median_age'].tolist(),
'households': train_x['households'].tolist(),
'median_income': train_x['median_income'].tolist()
}
feature_columns = set([
bucketized_longitude, # 5
bucketized_latitude, # 5
bucketized_housing_median_age, # 7
bucketized_households, # 7
bucketized_median_income, # 7
long_x_lat_ohe]) # 25 total: 56
3.3 Linear Regression 모델링
3.2에서 버킷화한 특성들을 입력값으로 넣어 줄때 아래의 그림처럼, 각 특성들의 원-핫-인코딩 값이 하나로 합쳐져 입력값으로 들어가게 된다.
inputs = tf.feature_column.input_layer(
features=features,
feature_columns=feature_columns)
labels = tf.placeholder(tf.float32, [12000, 1])
W = tf.Variable(
tf.truncated_normal([56, 1], stddev=0.1))
b = tf.Variable(tf.zeros([1]))
predictions = tf.matmul(inputs, W) + b
# loss & optimizer
rmse = tf.sqrt(
tf.losses.mean_squared_error(labels=labels, predictions=predictions))
train_op = tf.train.GradientDescentOptimizer(learning_rate=1.0).minimize(rmse)
num_epoch = 300
with tf.Session() as sess:
sess.run(tf.global_variables_initializer())
for epoch in range(num_epoch):
loss, _ = sess.run([rmse, train_op], feed_dict={labels: train_y})
if (epoch+1) % 30 == 0:
print('Epoch: {:03d}, RMSE: {:.4f}'.format(epoch+1, loss))
'''
Epoch: 030, RMSE: 141.7832
Epoch: 060, RMSE: 108.2888
Epoch: 090, RMSE: 102.8315
Epoch: 120, RMSE: 101.0997
Epoch: 150, RMSE: 99.8150
Epoch: 180, RMSE: 98.7043
Epoch: 210, RMSE: 97.7213
Epoch: 240, RMSE: 96.8407
Epoch: 270, RMSE: 96.0438
Epoch: 300, RMSE: 95.3159
'''
4.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Feature Engineering 방법과 텐서플로의 Feature Column에 대해 알아 보았다. 위의 코드에 대한 전체 코드는 https://github.com/ExcelsiorCJH/LearningTensorFlow/blob/master/Chap11-Feature%20Columns/Chap11-Feature_Column.ipynb
'DeepLearning > Learning TensorFl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된 모델 재사용하기 - Transfer Learning (12) | 2018.10.12 |
---|---|
Custom Estimator (0) | 2018.09.29 |
[러닝 텐서플로]Chap10.1 - 모델 익스포트와 서빙, Saver (0) | 2018.07.05 |
[러닝 텐서플로]Chap09 - 분산 텐서플로 (0) | 2018.07.04 |
[러닝 텐서플로]Chap08 - tf.FIFOQueue, tf.QueueRunner, TFRecords (1) | 2018.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