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딥러닝
- 파이썬
- Java
- recursion
- 코딩더매트릭스
- codingthematrix
- 그래프이론
- 텐서플로
- 알고리즘
- C언어
- HelloWorld
- NumPy
- scrapy
- 하이브
- 주식분석
- hive
- RNN
- python
- 선형대수
- 하둡2
- effective python
- tensorflow
- GRU
- LSTM
- collections
- graph
- C
- Sort
- hadoop2
- yarn
Archives
- Today
- Total
EXCELSIOR
[코딩더매트릭스]Chapter01 - 함수(Function) 본문
깃헙에서 주피터 노트북으로 보기
함수 - Function
1.1 집합에 대한 용어와 표기법
- 집합(set)은 수학 객체를 모아 놓은 것으로, 집합에 속하는 각 객체는 많아야 한 번 그 집합에 나타나는 것으로 간주한다.
- 이러한 집합에 속하는 객체를 원소(elements)라고 한다.
- 집합은 원소를 중괄호({})안에 열거하여 나타낸다.
- 집합은 원소들 사이에 순서가 없으므로 집합 내 원소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 기호 원소(객체)가 집합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 만약 어떤 집합 의 모든 원소가 다른 집합 에 속하면, 은 에 포함되고, 라고 표기한다.
- 집합은 원소수가 무한개인 무한집합일 수 있다.
- 집합 가 유한집합이면, 를 사용하여 집합의 크기(cardinality) 즉, 집합 의 원소 개수를 나타낸다
1.2 카테시안 곱(Cartesian product)
- 카테시안 곱은 데카크르 곱 또는 곱집합이라고도 함
- 두 집합 와 의 카테시안 곱(데카르트 곱)은 와 의 모든 쌍 로 이루어진 집합
1 2 3 4 5 6 7 8 9 | import numpy as np A = {1, 2, 3} B = {'a', 'b', 'c'} A = np.array(list(A)) B = np.array(list(B)) np.transpose([np.tile(A, len(B)), np.repeat(B, len(A))]) | cs |
1.3 함수(Function)
- 함수는 입력 가능한 집합 의 각 원소에 대해 출력을 할당하는 규칙
- 출력은 함수에 의한 입력의 상(image) 이고, 입력은 출력의 원상(pre-image)
- 이러한 집합 는 함수의 정의역(domain) 이라고 한다.
- 함수는 쌍 (a, b)들의 집합이며, 이때 각 쌍의 첫번째 원소는 모두 다르다.
- 함수 에 대해 에 의한 의 상(함수값)을 로 나타낸다.
- 만약, 이면, 는 에 의해 로 매핑된다 고 하고 로 표현한다.
- 함수를 나타낼 떄 함수의 공역(co-domain)을 명시하는 것이 편리하다.
- 공역은 함수값이 선택되는 집합이며, 공역의 모든 원소가 함수값, 즉 치역이 되어야하는 것은 아니다.
- 치역(image, range)은 모든 정의역 원소들에 대한 함수값들의 집합이다.
(출처: 위키피디아)
1) 항등함수(Identity function)
- 임의의 정의역 에 대해 함수 를 에 대한 항등함수라 한다.
- 모든 에 대해, 가 성립한다.
(출처: 위키피디아)
2) 함수의 합성
- 함수의 합성(functional composition)은 두 개의 함수를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함수를 얻는 것이다.
- 와 에 대해,
함수 는 와 의 합성함수(composite function)라 하며, 정의역(domain)은 , 공역(co-domaion)은 이다.
이 합성함수는 모든 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출처: 위키피디아)
3) 함수 합성의 결합법칙
- 함수 에 대해 합성함수가 존재한다면,
4) 역함수(Inverse function)
- 역함수는 정의역과 함수값을 뒤집어 얻는 함수이다.
- 역함수를 가지는 함수를 가역적(invertable)이라고 한다.
(출처: 제타위키)
- 정의: 다음 조건이 만족하면 함수 와 는 서로의 역함수이다.
- 가 정의되고, 의 정의역에 대해 항등함수이다
- 가 정의되고, 의 정의역에 대해 항등함수이다
- 즉, 가 성립한다.
단사함수(one-to-one, injective function)
- 모든 에 대해 는 인 경우 는 단사함수(one-to-one)라 한다.
- 아래의 예제는 단사함수이나 전사함수가 아닌 경우이다.
(출처: 위키피디아)
전사함수(onto, surjective function)
- 모든 에 대해, 를 만족하는 가 존재하면, 는 전사함수(onto)라 한다.
- 아래의 예제는 전사함수이나 단사함수가 아닌 경우이다.
(출처: 위키피디아)
5) 역함수의 성질
- 가역함수(invertible function)는 단사함수(one-to-one)이다. Lemma 1.3.16
- 가역함수는 전사함수(onto)이다. Lemma 1.3.17
- 함수가 역함수를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단사함수이면서 동시에 전사함수인 즉, 전단사함수인 경우이다. Lemma 1.3.18
- 역함수가 존재할 경우 그 역함수는 항상 유일(unique)하다. Lemma 1.3.19
- 와 가 가역함수이고 가 존재하면, 는 가역함수이고, 이다. Lemma 1.3.20
(출처: 제타위키)
1.4 확률(Probability)
- 확률이론은 무엇이 일어날 수 있는지, 그것이 일어날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에 관한 것이다.
- 확률이론은 확률에 대한 계산법이며, 가상적 실험에 대해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확률분포(Probability distributions)
- 확률분포는 확률변수가 특정한 값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함수를 의미한다.
여기서 확률변수는 정의역, 사건(event)이며, 함수 값은 사건의 확률을 의미한다. - 확률은 사건의 가능도(likelihood, 우도)에 비례한다고 가정한다. 참고
(출처: 위키피디아)
균등분포(discrete uniform distribution)
- 사건(event)에 대해 동일한 확률을 가지는 분포를 말한다.
(출처: 위키피디아)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 gaussian distribution)
- 정규분포는 연속확률분포의 하나이며 수집된 자료의 분포를 근사하는데 자주 사용된다.
(출처: 네이버 블로그)
1.5 Lab: 파이썬 소개 - 점프 투 파이썬 참고
리스트 컴프리헨션(List comprehensions)
- 하나의 리스트를 이용해 다른 리스트를 만드는 짧고 간단한 방법
1 2 3 | a = [1, 2, 3, 4, 5, 6, 7, 8, 9, 10] squares = [x**2 for x in a] print(squares) | cs |
딕셔너리 컴프리헨션(Dictionary comprehensions)
1 2 | dic = {k:v for k, v in [('a', 1), ('b', 2), ('c', 3)]} print(dic) | cs |
'Linear Algebra > Coding the Matr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더매트릭스]Chap05 - 행렬 The Matrix (2) | 2018.03.14 |
---|---|
[코딩더매트릭스]Chap04 - 벡터공간 Vector Space (0) | 2018.02.27 |
[코딩더매트릭스]Chap03 - 벡터 Vector (0) | 2018.02.05 |
[코딩더매트릭스]Chapter02 - 필드 Field (0) | 2018.02.01 |
코딩 더 매트릭스 스터디 게시판입니다. (0) | 2018.01.22 |
Comments